최근 신경심리학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신경심리학은 어떤 학문이며, 응용학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신경심리학 개요
신경심리학은 신경생물학이 우리의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람의 감정이 신경생물학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분야입니다. 학문 성격상 심리학의 목표 중 하나인 우리 인간의 의식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학문에는 뉴런의 역할을 알아보거나 약물 투여를 통해서 뇌의 기능을 변화시키거나 하는 실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때때로 뇌에 전극을 줌으로써 신경이 어떻게 활동하는지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이 학문은 신경생리학으로 불리며, 가장 오래된 학문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신경과학 정의
요즘 신경심리학은 신경생물학 등과 결합하여 신경과학으로 언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심리학보다는 훨씬 어려운 분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 심리과학은 분야가 굉장히 다양하게 분포돼 있어 기존의 신경생물학과는 결을 달리 합니다. 그렇기에 이제 막 이 분야에 입문한 학생이라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나중에는 인지심리학 분야가 광범위하게 신경과학과 통합돼간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하지만, 심리학과 신경과학 간의 관계 및 분석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본질적으로 인간의 심리는 뇌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심리 분석에 있어서 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논의는 뇌영상 장비가 나타나면서 시작됐습니다. 뇌 관찰 및 분석이 어려웠던 때에도 인간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한 작업은 실험심리학과 심리 측정학을 위주로 진행이 돼왔으며, 이러한 흐름에 대해 신경과학 연구는 심리학의 발전과 과정에 증거를 증명하는 보완 역할을 하거나, 심리학의 오류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극히 일부의 신경생리학 연구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학자들을 제외하면, 신경과학과 전통적인 행동연구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는 보완적인 성격을 가질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신경심리학 연구법
유전학
최근에는 유전학을 통해 신경심리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유전자의 손상이 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혹은 뇌의 특정 부위에서 뉴런의 기능 과잉이나 약화를 분석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유전공학을 이용해 뇌의 특정 부위의 특정 세포에 특정 파장을 통해 뉴런의 활동을 발현시키거나 중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피실험자로 인간을 활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대개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활용합니다. 예전에는 개, 고양이가 주로 사용됐으며 이들 동물들을 통해 우리 삶은 한층 더 많은 것을 누리며 살 수 있게 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뇌영상
뇌영상 여기 인간을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비나 기계들을 발명하게 되는데, EEG, fMRI, PET과 같은 장비들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중에서도 fMRI는 매우 고가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임상용으로 마련한 상태이며 연구용으로는 구입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점차 연구용으로도 고가의 장비를 구입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