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대표 책
교육심리학은 심리학의 한 종류로 최근에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학문의 존재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대개 출판된 교육심리학 책 대부분이 대학 교재로 사용될 만큼 책이 많지는 않지만 주요한 책 몇 권 소개하겠습니다.
학교 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를 정리한 책으로 현재 대학 교재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목차를 대략 살펴보면,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 학습에 대한 이해, 수업에 대한 이해, 생활지도와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 학업평가에 대한 이해 등 크게 분류돼 있습니다.
맥락적으로 저의 이전 포스팅 내용과 일맥상통한 부분이 있습니다. 학습 현장에서 교육자의 역할 및 중요성은 물론이고 교사가 교육을 함에 있어 준비해야 할 사항, 학습에서 단순히 교육을 전수하는 것에서 나아가 심리 상담이나 생활지도 등에 대한 팁까지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2부 학습자에 대한 이해 섹션에서는 개인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속도와 발전이 달라지게 되며, 특수한 경우의 학습자에 대한 예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특성 분석에 따른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제4부 수업에 대한 이해 섹션에서는 이론적으로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하며, 수업 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 얘기하고 있습니다. 이어 제5부에서는 학생들의 일상과 생활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에 대한 생활지도 및 상담을 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지 역설합니다.
교육심리학, 학지사
앞서 소개한 '학교 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책과 마찬가지로 학지사 출판사에서 출간했습니다. 9명의 공동저자가 만든 책은 보다 자세하게 교육심리학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목차만 해도 세부적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목차를 살펴보면, 학습자의 이해, 교수와 학습의 이해, 교수자의 이해, 평가로 나뉩니다. 그런데 각 목차별로 아주 세부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1부 학습자의 이해 섹션에서는 인지발달,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도덕성 발달, 지능, 창의성, 특수 학습자, 학습자의 다양성으로 나눠 설명합니다.
학습자에 대한 세부화 분류로 설명하고 있으며, 초심자도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제2부 교수 및 학습의 이해 섹션에서는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동기화, 교수, 학습이론 및 교수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제3부 교수자의 이해 섹션에서는 교사의 자질, 학급운영, 생활지도 및 상담, 특히 여기에서도 학급운영, 생활지도, 상담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마지막 제4부 평가에서는 학생의 학습 과정 평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수행평가, 표준화 검사 등이 바로 그것입니다.
교육심리학 교육실제를 보는 창, 학지사
이 책 역시 학지사 출판으로 외국 책을 옮겼습니다. 다양한 대학에서 교재로 활용되고 있는 책은 목차를 살펴보면 다른 책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지발달과 언어, 학습자의 다양성, 특수성을 지닌 학습자,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 학습에 대한 인지적 관점, 지식의 구성, 교실수업과 학습동기, 생산성 학습환경 조성하기, 교실에서의 학습 평가하기, 표준화 검사를 통한 평가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주목할 점은 생산성 학습환경 조성에 대한 부분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입니다. 목차 자체적으로는 국내 책보다는 단순화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심리학, 공동체
이 책은 예외적으로 학지사가 아닌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됐습니다. 작가는 문은식, 박선환, 정미경 공동저자로 2018년에 출판한 책입니다. 이 책 역시 목차가 단순화 돼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 학습에 대한 이해, 수업에 대한 이해, 교육평가에 대한 이해, 학습컨설팅에 대한 이해로 구성돼 있으며, 세부 목차는 위 책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제2부 학습자에 대한 이해는 인지발달, 정의적 발달, 학습자의 개인차, 특수한 학습자로 구성돼 있으며, 제3부 학습에 대한 이해에서는 행동주의적 관점, 인지주의적 관점, 동기화와 학습 등으로 돼있습니다.
댓글